티스토리 뷰

반응형

한국의 전통 민속놀이 중 하나인 ‘놋다리밟기’는 주로 경상도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여성 중심의 놀이로, 농사의 풍년과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공동체의 단합을 도모하는 놀이입니다. 초등학교 고학년 때 체육대회때 놋다리밟기를 체험해 본 기억이 있습니다. 그때 놋다리위를 지나가는 친구의 미안해 하는 모습이 기억납니다. 뜨꺼운 태양아래 여학생들만 모여서 연습하고 운동회때 부모님들과 다른 학년에게 보여주는 행사를 한 일이 새롭습니다. 놋다리밟기는 단순한 신체 놀이를 넘어, 여성들의 주체적인 문화 활동이자, 지역 공동체의 협동심을 강화하는 전통 문화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놋다리밟기의 기원, 놀이 방법, 문화적 가치, 그리고 현대적 활용 방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민속놀이 놋다리밟기 유래, 놀이방법, 문화적가치

1. 놋다리밟기의 유래

놋다리밟기의 기원은 농경사회에서 풍년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식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놋다리'라는 이름은 '쇠로 만든 다리'를 뜻하는데, 이는 단단하고 튼튼한 다리 위를 밟으며 마을의 결속력을 다지고, 나쁜 기운을 밟아 없앤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경상도 지역에서는 마을의 여성들이 주로 참여하여, 모내기철이나 추수철에 풍년을 기원하거나, 마을의 액운을 막기 위해 놀이 형태로 진행되었습니다. 과거에는 마을의 어른들이 놀이의 시작을 알리고, 젊은 여성들이 손을 잡고 서로의 다리를 만들어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놋다리밟기는 단순히 흥겨운 놀이에 그치지 않고, 마을의 공동체 의식과 여성들의 화합을 상징하는 중요한 문화적 전통이었습니다.

2. 놋다리밟기 놀이 방법과 절차

놋다리밟기는 참가자들이 두 줄로 길게 늘어서서 서로의 손을 잡고, 무릎을 꿇어 다리를 만드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그리고 한 명이 그 다리 위를 밟으며 걸어가며 풍년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합니다.

(1) 놀이 준비

  • 놀이에 참여할 인원: 보통 10명 이상
  • 장소: 마을의 넓은 공터나 마당
  • 복장: 한복이나 편안한 전통 의상
  • 노래: 놋다리밟기 민요를 부르며 진행

(2) 놀이 진행 방식

1. **다리 만들기**: 참가자들은 두 줄로 마주 앉아 손을 맞잡고, 무릎을 꿇어 서로의 다리를 이어줍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다리는 마치 '놋(쇠)다리'처럼 튼튼하게 연결됩니다. 2. **다리 위 걷기**: 마을의 어른이나 놀이의 리더가 다리 위를 밟고 걸어갑니다. 이때, "놋다리 밟기 놀이~"라는 전통 민요를 함께 부르며 놀이의 흥을 더합니다. 3. **리듬에 맞춰 다리 움직이기**: 다리를 만든 사람들은 리듬에 맞춰 천천히 다리를 위아래로 움직이며, 다리를 밟고 걷는 사람이 균형을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4. **기원과 마무리**: 마지막에는 "올해는 풍년 들고, 마을에 복이 가득하소서!"라는 기원 문구를 외치며 놀이를 마무리합니다.

3. 놋다리밟기의 문화적 가치

놋다리밟기는 단순한 놀이가 아닌, 공동체 문화의 상징으로서 다양한 문화적 가치를 지닙니다.

(1) 여성 공동체 문화의 상징

놋다리밟기는 여성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는 전통이었습니다. 과거 농경사회에서 여성들의 역할이 제한적이었던 시절, 놋다리밟기는 여성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마을의 안녕을 책임지는 중요한 행사였습니다.

(2) 세대 간 문화 전승

놋다리밟기는 어른들이 놀이를 시작하고, 젊은 여성들과 아이들이 함께 참여하며 자연스럽게 전통을 전수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마을의 역사와 전통을 후대에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었습니다.

(3) 공동체 결속력 강화

놋다리밟기는 마을 사람들이 함께 모여 협동하며 놀이를 진행하기 때문에, 마을 주민들 간의 유대감과 화합을 강화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4. 현대 사회에서의 놋다리밟기 활용 방안

현재 놋다리밟기는 전통문화 축제나 지역 행사에서 재현되며,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1)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

지역 축제나 전통문화 행사에서 놋다리밟기 체험 부스를 운영하여, 관광객과 청소년들에게 전통문화를 알리고 있습니다. 특히 경상도 지역에서는 매년 놋다리밟기 재현 행사를 통해 지역의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있습니다.

(2) 초등학교 및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

초등학교 및 청소년 문화 수업에서 공동체 활동으로 놋다리밟기를 체험하게 하여, 협동심과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습니다.

(3) 외국인 대상 한국 전통문화 홍보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한국의 전통 민속놀이 체험 프로그램으로 놋다리밟기를 소개하여, 한국 문화의 독창성과 공동체 정신을 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5. 결론: 여성들이 만들어낸 한국 전통놀이의 소중한 유산

놋다리밟기는 단순한 민속놀이를 넘어, 공동체의 화합과 풍요를 기원하는 한국 전통문화의 소중한 유산입니다. 특히 여성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했던 놋다리밟기는 현대 사회에서도 공동체 의식과 전통문화의 가치를 되새기는 중요한 문화 자산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놋다리밟기의 전통을 보존하고, 젊은 세대에게 전승하는 노력이 지속되길 기대합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반응형